정보: 15세 관람가지만 노출 있어 청소년관람불가 수준 / 상영시간: 180분 

/오펜하이머 소개 유튜브 보고 가길 추천/쿠키 없음

 

 

 

오펜하이머(Oppenheimer , 2023)

- 요약: 미국 외 스릴러 외 2023.08.15 개봉 15세이상 관람가 180분
-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 출연: 킬리언 머피, 에밀리 블런트, 맷 데이먼,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등
- 줄거리: “나는 이제 죽음이요, 세상의 파괴자가 되었다.” 
               세상을 구하기 위해 세상을 파괴할 지도 모르는 선택을 해야 하는 천재 과학자의  핵개발 프로젝트.

 

 


 오랫동안 기다려온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대작! 오펜하이머를 개봉 첫날 관람하였다.

호불호가 극명할 듯 하다. 인물 중심의 내용전개이기에 화려한 볼거리를 기대했다면 수면템일 수 있다.

하지만 인물 중심의 전개와 휘몰아치는 대사를 좋아한다면 꽤나 재밌는 영화가 될 듯하다.

 

일반관에서 관람하였는데 굳이 아이맥스일 필요는 없지 않을까 싶다. 인터스텔라나 덩케르트처럼 화려한 우주나 전쟁씬이 있는 것도 아니라 인물 중심의 연출이기에 무조건적인 아이맥스템은 아니다. 폭발씬도 생각보다 매우 잔잔하다... 사운드가 쫄깃하니 특수관에서 보고 싶다면 아이맥스보다는 돌비 추천템이다.

 

3시간이라는 매우 긴 영화이기에 음료는 자제하는 것을 추천한다. 영화 도중에 꽤 많은 사람들이 화장실로 뛰어가는 모습을 보았다...많이 급해보이셨다... 대신 한두 시간 전 커피를 마셔 또렷한 정신을 세팅한 후 보는 것을 추천한다. 대사와 인물이 워낙 많아서 놓치면 이해가 안 되기 때문이다. 집중해서 봤지만 아직도 이해 안 되는 것 투성이이다.

 

노출씬의 수위가 조금 높고 길이도 긴 편이다...청소년 동반 금지... 제발...


아래부터는 스포가 포함되어 있는 개인적 감상평이다

 이 영화는 오펜하이머이란 인물의 전기이다. 폭탄과 핵폭발을 기대했다면 매우 실망할 수도 있다.
핵폭발씬은 생각보다 임팩트가 덜해 그것만 기대하고 오면 3시간이 아까울 것이다.
이 영화는 크게 두 인물을 중점으로 나누어서 진행되는데 하나는 칼라인 오펜하이머흑백의 스트로스 제독이다. 개인적으로 칼라와 흑백으로 구분한 연출이 멋있었다. 일단 진행이 색으로 선명하게 구분되어 복잡한 내용임에도 불구하고 어느 정도 따라갈 수 있었고, 정치인과 과학자의 확실한 대비 또한 느낄 수 있었다.  흑백이면 연기에 더욱 집중하게 된다고 들었는데 스트로스 제독을 연기한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는 너무나도 뛰어난 연기를 보여주어 흑백연출에 대한 만족도를 높여줬다. 교활하고 냉혈한 정치인 그 자체였다. 그래서 비중은 당연히 킬리언 머피가 많지만 연기는 로다주가 훨씬 기억에 남는다... 아이언맨은 생각도 안 난다.

 

 나는 핵 개발~핵 성공 / 스트로스의 청문회 이렇게 1부 2부로 나눠지는 느낌이었다. 나는 2부에서 휘몰아치는 정치질과 대사, 연기들이 좋아서 이해는 못해도 빠져들어 보았는데 같이 본 지인은 폭탄 떨어지자마자 너무 졸려서 기절했다고 한다ㅋㅋㅋ 이런 부분 때문에 호불호가 세게 갈리지 않을까 싶다. 

 

 노출신을 얘기 안 할 수 없다. 정말... 왜 들어갔는지 이해가 안 된다. 플로렌스 퓨라는 미친 연기력을 가진 배우에게 기깔난 연기력을 보여주는 씬 없이 노출만... 오펜하이머랑 진이 전라로 소파에 앉아 대화하는 장면에서는 처음에 도청이나 감시를 피하기 위해 둘 다 벗었다 생각했지만 그냥... 벗은 거 같더라... 이해가 안 돼... 이해가...

 

 개인적으로 오펜하이머의 부인 키티라는 인물 활용이 너무나 아쉬웠다. 오펜하이머의 청문회에서 압박질문으로 그녀가 잠시 움츠러들었지만 눈빛이 살아나면서 청문회를 가지고 노는 그녀의 명석함과 정치력이 멋있었다. 꽤나 뛰어난 통찰력과 정치력이 꽤나 뛰어났을 거 같은데 그 부분이 부각되었더라면 얼마나 흥미진진했을까? 계속 아쉽다...ㅠㅠ


영화가 워낙 길고 대사와 인물이 많아 후기를 쓰자니 기억이 희미하다. 그래도 3시간이란 긴 시간 졸지 않고 집중해 본 것만으로도 매우 만족스러운 영화이다. 엔딩씬 대사가 매우 중요한데 하필 그때 집중력이 떨어져 제대로 의미 파악을 못했다. 3시간을 다시 볼 자신은 없어 누군가 얼른 해석해 주길 기대한다^^

 

이상 끝.

 

+ Recent posts